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미국의 '실업 쓰나미'가 5주 연속 계속됐다. 미 노동부는 지난주(4월 12~18일)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443만건을 기록했다고 23일 밝혔다.
신규 실업수당 청구가 늘었다는 것은 그만큼 일자리가 줄었다는 의미다.
블룸버그통신이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는 450만건이었다.
청구 건수 규모는 3주 연속 줄었지만, 여전히 폭증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미 언론들은 최근 5주간 코로나19 사태로 2천650만명이 일자리를 잃었으며, 이는 미국 전체 노동력의 약 16%에 해당한다고 평가했다.
또 지난 5주간 줄어든 일자리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 일자리가 늘어나기 시작한 2009년 11월부터 만들어진 일자리(2천244만2천개)보다 더 큰 규모다. 단순 수치상으로는 금융위기 이후 만들어진 일자리가 모두 사라졌다는 의미다.
미국의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는 코로나19 사태로 3월 셋째 주 330만건으로 폭증하기 시작해 같은 달 넷째 주에는 687만건까지 치솟은 뒤 이후 661만건(3월 29일~4월 4일), 524만건(4월 5~11일) 등을 기록했다.
주별로는 캘리포니아주 53만3천600건, 플로리다주 50만5천건, 텍사스주 28만400건 등을 기록했다.
블룸버그통신은 실업수당 청구자를 모두 실업자로 간주할 경우, 미국의 4월 실업률이 약 20%에 이른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평가했다. 미 실업률은 2월 3.5%에서 3월 4.4%로 0.9%포인트 높아진 상태다. 다만 신규 실업수당 청구 건수가 3월 넷째 주에 687만건을 찍은 이후 3주 연속 감소세를 보이기 시작해 최악의 상황은 끝난 것 아니냐는 기대가 나오고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전했다.
블룸버그통신도 대부분의 주에서 신규 실업수당 청구 규모가 줄어들고 있다면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일시 해고 증가세가 둔화하고 있다는 징후라고 평가했다.
no. | Subject | Date |
---|
667 | ![]() | Aug 24, 2020 | |
666 | ![]() | Jul 24, 2020 | |
665 | ![]() | Jul 17, 2020 | |
664 | ![]() | Jul 13, 2020 | |
663 | ![]() | Jun 12, 2020 | |
662 | ![]() | Jun 05, 2020 | |
661 | ![]() | May 22, 2020 | |
660 | ![]() | May 15, 2020 | |
659 | ![]() | Apr 28, 2020 | |
658 | ![]() | Apr 19, 2020 | |
657 | ![]() | Feb 21, 2020 | |
656 | ![]() | Dec 06, 2019 | |
655 | ![]() | Jul 15, 2019 | |
654 | ![]() | May 21, 2019 | |
653 | ![]() | May 13, 2019 | |
652 | ![]() | Apr 22, 2019 | |
651 | ![]() | Apr 12, 2019 | |
650 | ![]() | Apr 01, 2019 | |
649 | ![]() | Mar 26, 2019 | |
648 | ![]() | Mar 19, 2019 |
워싱턴 미주경제 - 4115 Annandale Rd. suite 207 Annandale, VA 22003 703)865-4901
뉴욕 미주경제 - 600 E Palisade Ave. suite 3 Englewood Cliffs, NJ 07632 201)568-1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