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월 이후 넉달여에 걸쳐 표류해오던 코로나 관련 5차 분양안이 구체화될 전망이다.트럼프 대통령은 16일 가자회견을 통해 "보다 더 큰 규모의 (부양안) 마련에 공감을 한다"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구체적인 규모는 밝히지 않았지만 그동안 미주-공화 및 백악관과의 협상과정에서 양측간 부양안 규모를 두고 큰 이견폭을 보여왔던 것에서 백악관측이 융통성을 가질 것임을 밝힌 것이어서 향후 진전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
그동안 민주당과 백악관 및 공화당측은 부양안의 필요성에는 공감하면서도 구체적으로 규모와 용도 등을 두고 심각한 견해차를 보여 몇달째 협상이 공전돼 왔었다.
펠로시 하원의장, 슈머 상원 민주당 원내대표 등 민주당 지도부는 대대적인 규모의 부양안 마련을 촉구해왔다.
민주당이 다수를 점하고 있는 하원은 지난 5월 이를 위해 3조 4천억달러 규모의 부양안을 마련, 통과시킨 바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공화당은 급증하고 있는 재정적자를 지적, 최소 규모를 주장하며 이에 대해 완강한 거부를 해왔었다.
공화당 상원의원들은 지난 7월 부양안을 1조달러 규모로 하는 안을 마련했었으나 민주당의 거부로 무산된 바 있다.
이후 민주당과 백악관은 여러차례의 접촉을 통해 이견폭을 줄이는 협상을 진행해왔다.
백악관 입장을 대변하는 백악관 비서실장과 므누신 재무장관은 민주당안의 규모를 축소토록 요구했고 이에 펠로시 의장측은 부양안 규모를 2조2천억달러로 늦추는 절충안을 제시했으나 이 역시 공화당과 백악관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수개월째 공전을 거듭하던 부양안 협상은 지난 14일 하원의 민주-공화당 중립지대 의원들이 주축이 되 마련된 절충안이 제시되면서 전환점을 맞았다.
no. | Subject | Date |
---|
253 | ![]() | Aug 30, 2021 | |
252 | ![]() | Aug 16, 2021 | |
251 | ![]() | Aug 09, 2021 | |
250 | ![]() | Jul 26, 2021 | |
249 | ![]() | Jul 16, 2021 | |
248 | ![]() | Jul 12, 2021 | |
247 | ![]() | Jun 18, 2021 | |
246 | ![]() | Jun 11, 2021 | |
245 | ![]() | Jun 04, 2021 | |
244 | ![]() | May 28, 2021 | |
243 | ![]() | May 14, 2021 | |
242 | ![]() | Apr 26, 2021 | |
241 | ![]() | Mar 22, 2021 | |
240 | ![]() | Mar 21, 2021 | |
239 | ![]() | Feb 05, 2021 | |
238 | ![]() | Jan 29, 2021 | |
237 | ![]() | Jan 22, 2021 | |
236 | ![]() | Jan 18, 2021 | |
235 | ![]() | Nov 27, 2020 | |
234 | ![]() | Nov 06, 2020 |
워싱턴 미주경제 - 4115 Annandale Rd. suite 207 Annandale, VA 22003 703)865-4901
뉴욕 미주경제 - 600 E Palisade Ave. suite 3 Englewood Cliffs, NJ 07632 201)568-1939